카테고리 없음

생활과 윤리 18번 답 생윤18번 사회문과 6번

익명킴 2017. 11. 27. 01:25

생활과 윤리 18번 답 생윤18번 사회문과 6번 



배워도 3번인건 나도 알겠다' 이런식의 말은 아니라고봅니다. 저선지는 생활과윤리를 정말 관심있고 애착있게 보았더라면 3번이 틀렸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겅부를 오히려 많이 한사람이 저선지를 골랐다고 봅니다


활과 윤리 같은 과목은 중학교 때 도덕시간 이후로는 들어보지 못했다. 그런 내가 그것도 10년만에 생윤이라는 과목의 수능문제를 봤는데 나같은 사람도 단번에 3번을 선택했는데...쩝.. 고등과정을 마치고 한글을 읽고 이해력이 조금만 있다면 가능할텐데 3번이 아니면 대체 몇번을 찍었길래 저렇게나 이의가 쏠리지...?



조금만 공부했다면 틀린 선지라는 것을 알 수 있고 2번 선지 또한 틀린 선지이므로 결과적으로 '가장 적절한' 선지는 3번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자원이 부족하다고 해서 질서정연한 사회가 될 수 없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자원이 부족해도 질서정연한 사회일 수 있으므로 자원이 부족한 국가만을 원조의 대상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학 전공해서 생활과 윤리는 배운 적이 없는데 문제 읽어보니 3번이 제일 답 같은데, 학생들은 저런 주장을 한 학자를 알고 해당 문제만 들여다보지 않고 더 나아가서 생각하니 틀린 거 같다.


하시나봐요 ㅋㅋㅋㅋㅋㅋ 나머지 선지가 답이 아닌 이유 당연히 아는데 자원이 부족한 국가 중에서 질서정연하지 않은 사회에 원조를 진행한다고 ebsi 생활과윤리 강의에서 말씀해주셨으니 들어보고오세요. 선지를 어떻게 보냐에 따라 관점이 달라지는 선지 자체에 학생들이 이의제기 할 수도 있는거지 그거보고


게 공부 안하면 틀린다. 수십번 읽고 풀어도 3번이 답인데 도대체 뭐가문제지.. 풀면서 망설이지도 않고 3번 체크했다